역사2 미래는 핀란드에 있다(리처드 D. 루이스/ 박미준 옮김)2016.8.15작성 미래는 핀란드에 있다(리처드 D. 루이스지음 / 박미준 옮김)2016.8.15 2008년의 책이지만 복지 최고 교육 최고라 일컫는 북유럽 중에서도 핀란드에 대해 무척 궁금했다 다큐멘터리를 보았을 때도 우리도 저런 나라가 될 수 있을까? 저들은 어떻게 저런 생각을 할 수 있을까? 평소에도 많이 궁금했다. 그들은 춥고 열악한 환경에 정착 했다 왜 그런 척박한 땅에 정착했는지 확실히 밝혀진 것은 없지만 오히려 그 때문에 선택했다고 추측하고 있다 침략을 덜 받을 거란 거다 그 덕에 그 추운지방에서 적응을 해야 했는데 말수도 없어지고 간결 했으며, 개인시간을 굉장히 중요히 여겨 이웃들하고도 거의 왕래가 없고 개인 나무 오두막도 외진 곳에 만들어 가끔씩 혼자만의 시간을 갖는다고 하며 과묵한 편이며 술을 좋아하고 지.. 2019. 3. 19. 한국사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이주한)2016.8.13작성 (이주한)2016.8.13 거진 2~3년 전쯤 아주 잠시 서평을 기록한 한글 파일을 발견했다 몇 개 있기에 추억삼아 기록한다... 제목부터 자극적이기에 구입 안할 수가 없었다. 그렇지 않아도 도대체 우리나라는 어디서부터가 문제인지 어째서 이지경이 되었는지 궁금했고 마침 역사상식도 필요하다고 생각하던 찰나 눈에 빨려들려 왔고 내가 24년 인생 살아오면서(딱히 많이 읽은 것도 아님...) 가장 충격적인 내용이었다. 아직도 이 한 문장이 머릿속을 돌아다닌다. [조선총독부의 교육방침 이치를 캐묻는자를 되도록 적게하라...] 바꿔 말하면 이건 A야 그렇게 알아 질문 하지마 왜인지 묻지도 마 너흰 그냥 그렇게 알면 돼 우리나라의 주입식교육과 일치했고 평소에도 왜 나만 이렇게 궁금해 하고 다른 사람들은 아무 생각 없.. 2019. 3. 19. 이전 1 다음